반응형

7월 21일 「CTCN 대한민국 협력연락사무소 개소식」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인천시·UN 공동으로 개최되었다.

 

   ※ 일시 / 장소: 7.21(목) 15:00~18:00 / 인천 송도 G타워 23층

 

  ◦ CTCN(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은 국가 간 기후변화대응 기술협력을 전담하는 UN산하 국제기구(본부: 덴마크 코펜하겐 소재)로,

 

  ◦ 개도국이 기후위기에 대처할 수 있도록 선진국과 개도국 간 기술협력을 확대하고, 기후변화대응 기술의 개발과 이전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UN 산하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의 최초 지역사무소 개소

□ 이날 개소식에는 사무소 설립을 기념하고자,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김효은 외교부 기후변화대사, 이행숙 인천시 정무부시장 등이 참석하였으며, 잉거 앤더슨 유엔환경계획 사무총장이 영상으로 축하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 김효은 외교부 기후변화대사는 “기후변화 영향이 증대되는 가운데 CTCN 대한민국 협력연락사무소가 개소되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하고, 탄소중립 달성에 있어 과학기술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고 하면서,

 

  ◦ “우리나라가 기후변화 영향에 취약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저탄소 경제 이행 및 기후회복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CTCN 대한민국 협력연락사무소는 전 세계 최초로 설립되는 CTCN의 본부 외 지역사무소로, 지구상에서 가장 급격한 기후변화를 겪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집중적으로 기후기술 확산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된다.

 

   * 작년 한해 해수온도 상승률이 지구 평균의 5배, 육상 기온 상승폭은 역대 최대를 기록하였으며, 전 세계 자연재해 중 40%가 아태지역에서 발생(‘19년)

 

□ 사무소는 CTCN 회원기관*이 보유한 기후변화대응 기술이 개도국 현지에서 사업화될 수 있도록 녹색기후기금(GCF, 약 200억불 규모)과 같은 대규모 재정기구와 협력할 예정이며,

 

   * 기후기술 분야의 기술 개발 및 협력사업을 수행하는 산학연 등 기술협력 참여기관으로, 대한민국의 CTCN 회원기관은 총 86개로 세계 최다(전 세계 CTCN 회원기관 중 약 12%)

 

  ◦ 기술이 현지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기후변화대응 기술의 개도국 현지 소규모 실증(RD&D) 프로그램을 런칭할 예정이다.

 

□ 아울러, 동 행사에서는 CTCN 대한민국 협력연락사무소의 설립을 공식 선포하고 사무소 운영계획을 소개함과 더불어, 한국 기후변화대응 기술의 해외이전을 확대하기 위해 ‘기후기술협력 협의체’를 발족하였다.

 

  ◦ 본 협의체는 기술의 해외적용 가능성 및 타당성을 검토하는 기술전문기관, 기술협력 사업의 자금을 지원·운영하는 재정기관, 그리고 해외 현지 이해 관계자와의 협의를 중재하는 국제협력 전문기관, 각 분야별 국내외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 기관 간 협력을 통해 기후변화대응 기술의 해외이전 사업을 공동 기획·운영하여 국내 기관이 보유한 기후변화대응 기술의 해외이전 성공사례 만들기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개도국 기후기술 이전을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소규모 실증-대형 사업화 추진체계를 정립하고, 우수 사업 아이템 발굴 및 스케일업(scale-up) 추진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참여기관) 기술 기관, 재정기관 및 국제협력 전문기관으로 구성

 

   - (기술전문기관) 기술의 적합성, 성숙도 등 기술적용 가능성 및 타당성 검토

 

   - (재정기관) 사업 규모 확대, 투자 가능성 등 경제성 검토

 

   - (국제협력 전문기관) 사업 아이템 선별 및 현지 협력채널 연계

 

 

 

출처 - 외교부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