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이종호 장관이 우리나라 첫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 발사 30주년을 맞아 ‘우리별 발사 30주년 기념식’ 영상축사를 보내 감사 축하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우리별 1 1992 8월 아리안 4호 발사체로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에서 발사된 우리나라의 첫 인공위성으로, 영국 서리 대학과 기술협력을 통해 개발한 위성이다. 인공위성 불모지와 다름없었던 우리나라는, 30  우리별 1를 시작으로 우리별 2, 3로 이어지는 우리별 위성 개발하였고, 과학기술위성, 다목적실용위성, 차세대중형·소형위성, 리안 위성 등 세계적인 수준의 위성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춘 명실상부 위성기술 강국으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독자개발 위성 현황(’22, 현재 운영 중인 위성 기준)

우리나라 독자개발 위성 현황

 

1992 55억원에 불과하던 우리나라 위성개발 예산 2022 4,135억원 규모까지 증가하였고, 위성 발사체 분야에만 투자하던 1992과 비교하여 현재는 우주탐사 인력양성 등의 분야까지 투자 영역 확장되는  우주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전 방위적 예산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지속적 투자로 쌓아올린 위성개발 기술력이 바탕이 되어 지난 8.5일에는 독자개발  궤도선 다누리 성공적으로 발사될 수 있었다. 다누리 개발 시 차세대중형위성 플랫폼 최대한 활용하여, 산·학·연 협력을 통해 국내 주도 본체를 개발하였다.

 

향후 과기정통부는 위성 핵심 부품 국산화, 신기술 검증과, 다양한 임무수행을 위한 위성개발 투자하여 국내 위성산업 발전 중점 지원할 계획이다.

 

이 날 과기정통부 이종호 장관은 영상축사에서 우리나라 위성 개발 성과 앞으로의 산업 육성, 핵심 부품 국산화 등의 도전 과제 정부의 정책 추진 의지를 밝히고, “우리별 발사 30주년을 기념하는 것은 우리나라 우주개발의 역사 기념하는 자리와도 같다”며, “위성개발 헌신 분들과 우주분야 종사자들에게 뜻깊은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