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9 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 이하 에너지연)에서 「수소 미래 전략」수립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 개최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특허청

정부와 기업이 만나 수소기술의 미래를 논의한다

  이번 간담회는 범부처 수소 연구개발 협의체 총괄위원회*를 계기로 동시에 개최하였으며, 수소 연구개발 관계부처들은 19년부터 범부처 협의체를 운영하며 수소 기술개발 단계별 이행안(19), 범부처 수소 연구개발 예타사업 추진(22)  국가 수소 연구개발 관련 사항을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 (위원장)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 / (위원) 관계부처 과장급(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특허청) 및 연구관리 전문기관 피엠(PM)

 

  특히 이번 간담회에서는 정부의 수소기술 연구개발 전략 방향성에 대해 수소 기술개발 전문기업 등 산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수소기술 육성을 위한 정책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추진하였다.

 

   「수소 미래 전략 산업계 간담회」 개요   
 
 
  일시・장소 : 22. 9. 15.(), 14:30 ~ 16:0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코빌딩 대회의실(1F)
 
  참석자: (관계부처) 과기정통부(주관), 산업부, 국토부, 해수부, 환경부, 특허청
            (산업계) LG화학, 엘켐텍, 효성, 롯데정밀화학, 에너진, 현대자동차, 빈센, 에스퓨얼셀, 두산에너빌리티, HyNet, 청정암모니아협의체, H2KOREA
            (기타) 연구관리 전문기관 및 수소 전략 수립 총괄위원회
 
 ◈ (주요 내용) 「수소미래 전략」 방향에 대한 산업계 전문가 의견 수렴 등
 

  이날 간담회에서 과기정통부는 수소기술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연내 수립 예정인 「수소 미래 전략()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수소기술 관련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와 초격차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중장기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 과기정통부‧산업부‧국토부‧해수부‧환경부‧특허청 등 관계부처 공동수립

 

  이후 토론에서 기업들은 향후 수소기술육성을 위한 추진방향과 제도적 기반 마련의 필요성에 대해 자유롭게 논의하며, 수소기술개발 및 상용화 지원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을 요청했다.

 

  산업계 전문가로 참석한 ㈜엘켐텍 문상봉 대표는 에너지 자립을 위해서는 수소경제로의 전환 및 수소생산 기술 경제성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밝히며, 세계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규모 및 방식의 친환경수소 생산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롯데정밀화학 최낙운 연구개발부문장 해외수소 도입을 위한 해운송·저장 기술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현재 암모니아는 경제적인 수소 운송·저장 수단으로 고려되고 있어 상업규모의 플랜트 실증과제 추진 및 기반 구축과 더불어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구혁채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수소는 탄소중립 중점기술 국가필수전략기술 간 유일한 교집합으로, 새 정부의 혁신주도형 탄소중립 추진방향을 보여줄 수 있는 기술 분야이므로, 수소 초격차 기술 및 핵심기술 자립도 확보가 기술 선도국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며,

 

  “과기정통부는「수소 미래 전략」을 발표하여 체계적인 연구개발과 기술혁신을 지원하여 수소 전주기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탄소중립 중점기술) 39개의 탄소중립 중점기술선정(21.8. 2차 탄소중립 기술특위)
(국가필수전략기술) 「국가 필수전략기술 선정 및 육성‧보호전략」 (21.12.21. 과기장관회의)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