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달 탐사선 ‘다누리’ 8월 5일(금) 08시 08분경(현지기준 8월 4일(목) 19시 08분경)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예정대로 발사한다고 밝혔다.

 

 ㅇ 다누리는 발사장인 케이프커내버럴 미 우주군 기지에서 약 한 달간 기능점검, 연료주입, 발사체와 조립 등 사전 작업을 성공리에 모두 완료하였고, 현재는 스페이스X사의 팰컨9 발사체에 탑재되어 발사대기 중이다.

 

 다누리는 발사 약 40분 뒤에 발사체에서 분리되고, 이어  20분 후(발사  1시간 뒤) 지상국과 최초 교신할 예정이다.

 

 ㅇ 이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발사체 분리정보 분석하여 13~14시 경(발사 후 5~6시간 후) 다누리가 목표 달 전이궤적 진입 성공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누리 본체

다누리, 8월 5일(금) 오전 8시 8분경 발사

 

□ 발사개요

 

  (발사일시) 22.8.5.() 08:08(발사장 현지 22.8.4() 19:08)

 

   발사일시는 기상상황 및 발사용역업체(Space-X)와 협의상황 등에 따라 변동가능

 

  (발사장소)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미 우주군 기지

 

  (발사체) Space-X Falcon 9-5500

 

□ 지구-달 궤도 전이(22.8월~22.12월)

  발사 후 미 항공우주국(NASA)과의 협력 하에 BLT*(Ballistic Lunar Transfer)궤적을 따라 달 궤도선 항행 및 통신 관제를 통해 달 궤도 진입 예정

 

    * 탄도형 달 전이방식으로, 다른 궤적에 비해 이동거리가 길지만 연료를 상당량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 (참고: 지구-달 직선 이동시 약 3일 소요)

 

 

□ 임무운영(23.1월~23.12월)

 

  (운용궤도) 달 상공 100km에서 달 극지방을 지나는 원 궤도

 

  (궤도진입 후 시운전 운영) 23.1

   - 달 궤도 진입 후, 탑재체 초기동작 점검 및 본체 기능 시험 진행

   - 광학탑재체(LUTI, SHC, PolCam) 검보정* 수행

    * 최상의 위성영상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위성영상의 오차, 왜곡 현상을 조정하는 작업 

 

  (정상운영) 23.2~23.12

 

   - 달 상공 100km의 임무 궤도를 하루 12회 공전하며 달 관측 및 과학기술 임무*수행 및 안테나를 통해 관측 데이터 수신

 

    * 달 착륙 후보지 탐색, 달 과학연구(자기장, 감마선 측정 등), 우주인터넷 기술 검증

 

   - 달 궤도선의 안정적인 궤도 유지를 위한 거리 측정 및 궤도 기동을 수행하고, 태양 입사각 변화에 따른 열 조건 유지를 위한 회전 기동 수행

 

 발사 개요

 

  (발사예정일) 22.8.5.() 08:08(발사장 현지 22.8.4.() 19:08)

 

   - 유동적인 발사일에 대비한 달 전이 궤적 설계로 22.8.1.9.9. 기간 중 발사 시 달 궤도 진입은 22.12.17., 임무 궤도 진입은 22.12.31.로 동일

 

  (발사장소)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미 우주군 기지

 

     ※ 위치 : 북위 28.29도, 서경 80.34도

 발사체 개요

 

  (Falcon-9) 다누리(KPLO) 단독 발사

 

   - 발사체 1단은 6번째 재사용 예정(22.1.31 발사한 COSMO-SkyMed 1단 발사체)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